굼긍하다?

플라스틱을 사용하는 것도 문제지만, 플라스틱 첨가제가 빠져나오는게 더 문제다

PARANBOOT 2025. 4. 14. 22:35
반응형

 

플라스틱을 사용할 때 가장 중요한 것은 플라스틱 자체보다 플라스틱에 포함된 첨가제가 빠져나오는 상황을 피하는 것이다.플라스틱 첨가제는 제품을 더 유연하고 강하게 만들기 위해 넣지만, 사용 중 환경 조건에 따라 밖으로 빠져나와 인체에 흡수될 수 있다.이 첨가제들이 인체에 들어오면 호르몬 교란 등 건강 문제를 일으킬 수 있기 때문에 사용 방법에 주의가 필요하다.

 

다음은 첨가제가 빠져나오는 주요 상황과 예방 방법이다.

 

첫째, 열에 노출될 때
원인: 플라스틱이 열을 받으면 첨가제가 녹아 나옴
주의 방법: 전자레인지에 플라스틱 용기 사용하지 않기, 뜨거운 음식이나 음료를 플라스틱 용기에 담지 않기, 자동차 안에 플라스틱 생수병 방치하지 않기

 

둘째, 기름기 있는 음식과 접촉할 때
원인: 첨가제는 기름에 잘 녹는 성질이 있음
주의 방법: 기름진 음식은 유리나 도자기 그릇에 담기, 배달 음식 포장은 바로 유리 그릇 등으로 옮겨 사용하기

 

셋째, 햇볕이나 자외선에 오래 노출될 때
원인: 자외선이 플라스틱을 분해하며 첨가제가 방출됨
주의 방법: 플라스틱 제품을 햇볕에 장시간 두지 않기, 외부에서는 그늘진 곳에 보관하기

 

넷째, 플라스틱 제품이 오래되어 노후화될 때
원인: 시간이 지남에 따라 플라스틱이 열화되면서 첨가제가 방출됨
주의 방법: 플라스틱 용기나 조리 도구는 일정 기간 사용 후 교체하기, 오래된 장난감이나 식기류 사용 중단하기

 

추가로 생활 속에서 다음과 같은 점도 함께 주의하는 것이 좋다.

  • 플라스틱 생수병은 햇볕이 드는 곳에 보관하지 않고 신선한 제품을 사용한다.
    조리 도구는 스테인리스나 실리콘 제품으로 교체한다.
    유아용 제품은 BPA-Free 여부를 반드시 확인하고, 가능하면 유리나 실리콘 제품으로 사용한다.
    화장품이나 세안제, 치약 등에서 미세플라스틱이 함유된 제품은 피한다.
    PVC 소재의 인조 가죽 가구나 바닥재, 샤워 커튼 등은 장기 사용 시 첨가제가 방출될 수 있으므로 천연 소재 제품을 선택한다.
    플라스틱 용기에 산성 식품이나 기름진 음식을 장기간 보관하지 않는다.

 

결론적으로 플라스틱 첨가제의 유출을 줄이기 위해서는 플라스틱 제품을 사용할 때 다음 다섯 가지를 반드시 지키는 것이 좋다.

 

첫째, 뜨거운 음식과 플라스틱을 함께 사용하지 않는다.
둘째, 기름진 음식과 플라스틱을 함께 사용하지 않는다.
셋째, 플라스틱을 햇볕에 노출시키지 않는다.
넷째, 노후된 플라스틱 제품은 교체한다.
다섯째, 입에 닿거나 피부에 직접 닿는 플라스틱 제품은 특히 주의해서 선택한다.

 

이 원칙만 잘 지켜도 생활 속에서 플라스틱 첨가제에 의한 건강 피해를 충분히 줄일 수 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