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2025/04/24 5

뇌가 생각하는 것일까? 아니면 뇌는 단순히 나를 표현하는 도구일까?

책을 읽으면 뇌 마다 기능이 있고, 어느 한 부분이 상처 또는 문제가 생기면 특정 능력이 저해 되는 것을 보면, 내가 생각하고 인지하고 느끼는 건 나라는 의식이 있어서가 아니고, 뇌가 컴퓨터 마냥 생각하는 거고, 그 일정 부분이 망가지면 내가 아니게 되니까? 뇌가 나일까? 아니면 내가 뇌일까? 그렇다면 로보캅 처럼 뇌만 이식하면 그게 나일까? 라는 생각이 든다.그래서 아래와 같이 알아 보았다. 1. 뇌에 문제가 생기면 왜 기능이 사라질까인간의 뇌는 약 천억 개가 넘는 신경세포로 이루어져 있고, 각 영역은 특정한 기능을 담당하고 있어요.전두엽은 사고, 판단, 감정 조절해마는 기억 형성후두엽은 시각 처리브로카 영역은 언어 생성베르니케 영역은 언어 이해이런 영역 중 하나라도 손상되면 해당 기능이 일부 혹은 전..

굼긍하다? 2025.04.24

모든 움직임은 회전 운동에서 부터 시작 된다

우리가 사용하는 전기를 통해서 움직이는 모든 것들의 움직임을 보면 돌기도 하고 올라갔다 내렸다가 오기도 하고, 물결치면서 움직이기도 하고 다양한 움직임과 회전을 보여준다. 하지만 그것들의 움직임은 모두 회전 운동에서 부터 시작되는 것을 알고 있을까? 1. 모든 움직임의 시작은 회전이다현대 기계나 로봇의 대부분은 모터를 동력원으로 사용한다.그리고 이 모터는 돌아가는 운동, 즉 회전 운동을 만들어 낸다.예를 들어,전동 드릴이 회전하고세탁기 모터도 회전하고자동차 엔진도 실린더가 회전시키는 동력축이 있어요심지어 전자레인지 안에 돌아가는 접시도 마찬가지죠즉, 기계의 본질적인 동작은 대부분 '회전'을 기반으로 한다..2. 그런데 우리는 직선 운동이 필요하다하지만 우리가 원하는 움직임은 단순히 회전이 아니다.문을 열..

굼긍하다? 2025.04.24

지구의 자기장으로 전기를 생산할 수 있을까?

자기장으로 전기를 생산하다고 하는데, 우리 지구는 그렇게 큰 자기장을 가지고서는 왜 전기를 생산하지 못할까?그 이유는 아래와 같다. 전기는 어떻게 만들어지는가우리가 일상에서 사용하는 전기 대부분은 발전소에서 만들어진다. 전기를 생산하는 원리는 전자기 유도 현상이다. 이는 도선이나 코일이 자기장 안에서 움직이거나, 자기장이 시간에 따라 변할 때 도선에 전류가 흐르는 현상을 말한다. 즉, 자기장이 존재하는 것만으로는 전기가 생기지 않고, 반드시 자기장의 변화나 도선의 움직임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자석이 고정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지만, 자석을 움직이거나 도선을 빠르게 회전시키면 전류가 생긴다. 2. 지구 자기장의 성질 지구는 자체적으로 거대한 자기장을 가지고 있다. 지구 중심..

굼긍하다? 2025.04.24

지구의 자기장이 없다면 지구에 산소도 없을까?

자기장이 없다면 우리가 마시고 있는 산소는 지구에 존재할 수 있을까?자기장의 역할은 무엇일까? 자기장이란 지구 내부에서 발생하는 자기력의 힘으로, 지구를 둘러싸고 있는 보이지 않는 보호막 같은 것이다. 이 자기장은 지구 중심의 액체 상태 철과 니켈이 회전하면서 만들어지는데, 이는 지구가 하나의 거대한 자석처럼 작용하게 만든다. 자기장은 단순히 나침반의 작동이나 북극과 남극을 구분하는 데에만 의미가 있는 것이 아니다. 자기장은 지구를 태양으로부터 오는 해로운 입자들로부터 보호하는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태양에서는 매 순간 엄청난 양의 고에너지 입자들이 방출된다. 이 입자들은 양성자와 전자처럼 전기를 띤 입자들인데, 우리가 흔히 태양풍이라고 부른다. 이 태양풍은 시속 수백만 킬로미터의 속도로 우주 ..

굼긍하다? 2025.04.24

목 마를 때는 바닷물? 포가리스웨이트?

왜 목이 마를 때 바닷물을 마시면 안 된다고 할까? 왜 포카리스웨이트는 마시면 흡수가 잘 된다고 할까? 다 같은 물이 아닌가? 그게 아니다. 우리가 흔히 하는 궁금점에 대해서 아래와 같이 알아 보았다. 바닷물을 마시면 왜 탈수가 일어나는가, 포카리스웨트는 왜 잘 흡수되는가우리는 일반적으로 물을 마시면 수분 보충이 된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바닷물을 마시게 되면 오히려 우리 몸은 더 건조해지고, 심한 경우에는 탈수로 인해 생명 위협까지 받을 수 있다. 반면에 포카리스웨트나 게토레이 같은 이온음료는 마시면 빠르게 흡수되어 몸의 수분을 보충하는 데 도움을 준다. 왜 같은 액체인데도 이렇게 반대의 결과가 나타나는 걸까? 이 현상은 바로 생물학에서 매우 중요한 개념인 삼투압과 체내 농도 조절 원리로 설명할 수 ..

굼긍하다? 2025.04.2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