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지구 3

지구의 자기장으로 전기를 생산할 수 있을까?

자기장으로 전기를 생산하다고 하는데, 우리 지구는 그렇게 큰 자기장을 가지고서는 왜 전기를 생산하지 못할까?그 이유는 아래와 같다. 전기는 어떻게 만들어지는가우리가 일상에서 사용하는 전기 대부분은 발전소에서 만들어진다. 전기를 생산하는 원리는 전자기 유도 현상이다. 이는 도선이나 코일이 자기장 안에서 움직이거나, 자기장이 시간에 따라 변할 때 도선에 전류가 흐르는 현상을 말한다. 즉, 자기장이 존재하는 것만으로는 전기가 생기지 않고, 반드시 자기장의 변화나 도선의 움직임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자석이 고정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지만, 자석을 움직이거나 도선을 빠르게 회전시키면 전류가 생긴다. 2. 지구 자기장의 성질 지구는 자체적으로 거대한 자기장을 가지고 있다. 지구 중심..

굼긍하다? 2025.04.24

자전축이 바뀌면 기후도 변할까?

요즘 뉴스에 자전축이 바뀌고 있다는 기사가 나오고, 기후도 바뀌고 있다는 기사도 자주 들을 수 있다.지구의 기후는 여러 요인의 영향을 받지만, 그중에서도 **자전축(tilt of Earth's axis)**은 기후 변화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지구의 자전축이 변화하면 태양의 입사각이 달라지고, 이는 계절 변화, 극지방의 기온 변화, 해류의 흐름, 대기 순환 등에 영향을 미쳐 기후에 큰 변화를 일으킬 수 있다. 본 글에서는 지구의 자전축이 무엇인지, 자전축이 변하면 기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과거 자전축 변화로 인해 어떤 기후 변화가 발생했는지 등을 살펴보겠다. 1. 지구의 자전축이란? 지구는 하루에 한 번 자전하며, 이 자전의 중심축을 자전축(Rotational Axis)이라고 한다. 현재 지구의 자..

굼긍하다? 2025.02.20

하늘은 왜 파란색일까?

호랑이 담배피던 시절부터 사람들이 가졌던 질문일 듯 하다. 하늘은 왜 파랄까? 다른 색이었다면? 언제나 의문이 들기도 하다. 이유는 모르겠지만 파란색이어서 다행이라고 생각할 때도 많았다. 하지만 왜 파란지 궁금했다. 이 질문에 대한 답을 찾기 위해서는 빛의 성질과 대기 중에서 빛이 어떻게 산란되는지를 이해해야 한다. 이 글에서는 빛의 기본적인 성질부터 하늘이 파란 이유, 그리고 일출과 일몰 때 하늘이 붉게 보이는 이유까지 자세히 설명하겠다. 1. 빛은 무엇인가? 우리가 태양을 볼 때, 햇빛은 단순히 흰색처럼 보인다. 하지만 실제로 햇빛은 여러 가지 색깔의 빛이 섞여 있는 것이다. 빛은 **전자기파(Electromagnetic waves)**의 일종이며, 각각의 색깔은 고유한 **파장(Wavelength)..

굼긍하다? 2025.02.19
반응형